2025년 4월 1일 해외직구 관세 개정안, 뭐가 바뀌나?
해외직구를 자주 하시는 분들이라면 주목해야 할 변화가 있습니다. 2025년 4월 1일부터 해외직구에 적용되는 관세 기준이 변경되면서, 일부 품목은 이전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하거나 반대로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.
이번 개정안은 소액 면세 기준 상향, 합산 과세 기준 조정, 건강기능식품, 화장품, 전자제품 등 주요 품목별 기준 변경 등을 포함하고 있어, 소비자 입장에서 정확히 이해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.
2025년 관세 개정 핵심 요약
아래 표는 기존과 달라진 관세 규정을 한눈에 보여줍니다.

항목 | 기존 기준 | 2025년 4월 1일 이후 |
---|---|---|
면세 기준 | 미화 150달러 (미국발은 200달러) | 미화 200달러 통합 기준 |
합산 기준 | 입항일 기준 동일인 합산 | 입항일 + 3일 이내 도착품 합산 |
건강기능식품 | 6병 이하 | 5병 이하로 조정 |
화장품 | 세트 제품 포함 최대 12개 | 10개 이하로 조정 |
해외직구 절차 흐름도
아래 이미지를 통해 해외직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확인하세요.

해외직구 절세 꿀팁
이번 관세 개정에 따라 아래 절세 전략을 실천해보세요:
- 배송 간격 조절: 최소 3일 이상 차이를 두고 주문
- 배송대행지 통합 사용: 한 번에 통관되도록 주소 통일
- 신고서 확인: 품목명, 가격, 개수 정확히 기재
- 스마트 관세 계산기 활용: 관세청 유니패스에서 사전 계산 가능
관세청 유니패스 계산기 사용법
관세를 직접 계산해보고 싶다면 아래 사용법 이미지를 참고하세요.

📌 실제 사례: $180짜리 스마트워치 직구 시
미국에서 배송되는 $180짜리 스마트워치를 직구할 경우, 4월 1일 이후에는 면세 한도 $200 이하로 간주되어 관세 면제 대상이 됩니다. 단, 배송비 포함 금액이 $200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마무리 체크리스트: 4월 1일 이후 해외직구 이렇게 하세요
- ✔ 면세 기준은 모든 국가에서 $200으로 통합
- ✔ 동일 물품을 3일 간격 이상으로 분산 주문
- ✔ 건강기능식품, 화장품은 개수 제한 강화 확인 필수
- ✔ 세금 계산은 유니패스 관세 계산기 활용
- ✔ 고가품은 전문가 통관 상담 추천
앞으로 해외직구 시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번 관세 개정안을 꼼꼼히 이해하고, 현명한 쇼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 💡